[© 최광민] 예수 vs. 호루스 #9: 호루스도 예수처럼 물 위를 걸었을까?





이 블로그는 수익모델로 배너광고검색창을 삽입합니다

역사|종교|철학

[© 최광민] 예수 vs. 호루스 #9: 호루스도 예수처럼 물 위를 걸었을까?

草人! 2021. 7. 31. 03:25
작성

© 최광민, Kwangmin Choi, 2009-11-26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글들에 대해 저자의 동의없는 전문복제/배포 - 임의수정 및 자의적 발췌를 금하며, 인용 시 글의 URL 링크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목

[© 최광민] 예수 vs. 호루스 #9: 호루스도 예수처럼 물 위를 걸었을까?

순서
    1. 어떤 주장
    2. 호루스? 오안네스?
    3. 예수 = 오안네스?
    4. 정리

    § 어떤 주장

    아래는 {시대정신/Zeitgeist: the movie}에 등장하는 예수=호루스 카피캣 이론의 한 예로, 영상물의 스냅샷과 나레이션 원문이다.


    {Zeitgeist: the Movie}의 한 장면 (출처: archive.org)

    Broadly speaking, the story of Horus is as follows:
    1. Horus was born on December 25th of the virgin Isis-Meri. 
    2. His birth was accompanied by a star in the east, which in turn, three kings followed to locate and adorn the new-born savior
    3. At the age of 12, he was a prodigal child teacher, and
    4. at the age of 30 he was baptized by a figure known as Anup and thus began his ministry.
    5. Horus had 12 disciples he traveled about with, performing miracles such as healing the sick and walking on water. / 호루스는 12 사도를 거느리고 여행하며 병자를 고치고 물 위를 걷는 등 기적을 일으켰습니다.
    6. Horus was known by many gestural names such as The Truth, The Light, God's Annointed Son, The Good Shepherd, The Lamb of God, and many others.
    7. After being betrayed by Typhon, Horus was crucified, buried for 3 days, and thus, resurrected.

    호루스와 예수가 공히 물 위를 걷는 기적을 보였다는 이 주장 역시 다른 호루스=예수 계열 카피캣 이론과 마찬가지로 제럴드 메이시의 100년 전 주장에서 유래했다. 메이시의 이 주장은 아차리아 S (= 본명, D. M. 머독)의 저작을 거쳐 영상물 {시대정신}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주장#: 예수와 호루스 모두 "물 위를 걸었다" !!!!

    그런데 정확히 말하자면 메이시는 자신의 주장 속에서 물 위를 걸은 인물이 "호루스"라고 말하지 않았다. 심지어 그 인물이 "물 위를 걸었다"라고도 하지 않았다. 인터넷에 떠돌고 있는 이 주장은 그래서 그나마 메이시의 주장조차 와전해서 전달하고 있는 셈이다.

    점입가경이라고나 할까?




    § 호루스? 오안네스?

    그럼 메이시가 예수처럼 물 위를 걸었다고 주장한 인물은 누구일까? 그 인물은 바빌로니아의 반인/반어/반신적 존재인 오안네스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사실 메이시는 오안네스가 "물 위를 걸었다"고도 말하지 않았다.

    오안네스 (그리스어 Ὡάννης)는 원래 BC 3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거의 동시대인인 바빌로니아의 마르둑/벨 신관 베로소스가 그리스어로 찬술한 {칼데아 역사}에 기록된 반신적 생물체다. 베로소스에 따르면, 이 오안네스는 페르시아만에 살고 있으며 낮시간에 물에서 나와 인간에게 글, 예술, 과학 같은 지식을 가르친 일종의 인어로서, 프로메테우스와 같은 일종의 문화영웅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 몸 전체는 물고기 같지만, 물고기 머리 아래 또 하나의 머리가 있고, 물고기 꼬리에 붙은 사람의 발 같은 것이 있었다고 한다. 이 묘사는 앗시리아의 신 다곤과 매우 흡사하다.


    앗시리아의 다곤 ~ 바빌로니아 오안네스 ~ llustration from {Illustrerad verldshistoria utgifven av E. Wallis. volume I}: The fish-god Dagon 편 (출처:Wikimedia Commons)

    그럼 먼저, 베로소스의 책을 발췌인용해서 후세에 전한 역사가 알렉산드로스 폴리히스토르의 기록을 통해 오안네스를 만나보도록 하자.


    http://archive.org/stream/chaldeanaccounto00smit


    Extract I. From Alexander Polyhistor (Cory, p. 21).

    Berosus, in the first book of his history of Babylonia, informs us that he lived in the age of Alexander, the son of Philip. And he mentions that there were written accounts, preserved at Babylon with the greatest care, comprehending a period of above fifteen myriads of years; and that these writings contained histories of the heaven and of the sea; of the birth of mankind; and of the kings, and of the memorable actions which they had achieved. And in the first place he describes Babylonia as a country situated between the Tigris and the Euphrates; that it abounded with wheat, and barley, and ocrus, and sesame; and that in the lakes were produced the roots called gongæ, which are fit for food, and in respect to nutriment similar to barley. That there were also palm-trees and apples, and a variety of fruits; fish also and birds, both those which are merely of flight, and those which frequent the lakes. He adds that those parts of the country which bordered upon Arabia were without water, and barren; but that the parts which lay on the other side were both hilly and fertile. At Babylon there was (in these times) a great resort of people of various nations, who inhabited Chaldea, and lived in a lawless manner like the beasts of the field.

    In the first year there appeared, from that part of the Erythræan sea which borders upon Babylonia, an animal endowed with reason, by name Oannes, whose whole body (according to the account of Apollodorus) was that of a fish; that under the fish's head he had another head, with feet also below similar to those of a man, subjoined to the fish's tail. His voice, too, and language were articulate and human; and a representation of him is preserved even to this day. This being was accustomed to pass the day among men, but took no food at that season; and he gave them an insight into letters and sciences, and arts of every kind.

    바빌로니아에 맞닿은 에리트리아 해 인근에서 처음 출현한 첫 해, 이 지성을 갖춘 동물은 "오안네스"라고 불려졌다. (아폴로도루스에 따르면) 그 몸은 전체적으로 물고기 같았는데, 물고기 머리 아래로 또 다른 머리가 있었고, 사람과 유사한 다리가 꼬리 지느러미에 인접해 붙어있었다. 오안네스는 분절되는 인간의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 오안네스를 묘사한 도상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오안네스는 낮 시간 동안은 인간들과 함께 보냈지만 인간의 음식을 먹지 않았다. 오안네스는 인간들에게 문자와 과학과 온갖 종류의 기술을 알려주었다.....(후략)  / 번역: 최광민

    He taught them to construct cities, to found temples, to compile laws, and explained to them the principles of geometrical knowledge. He made them distinguish the seeds of the earth, and showed them how to collect the fruits; in short, he instructed them in every thing which could tend to soften manners and humanize their lives. From that time, nothing material has been added by way of improvement to his instructions. And when the sun had set this being Oannes retired again into the sea, and passed the night in the deep, for he was amphibious.

    After this there appeared other animals like Oannes, of which Berosus proposes to give an account when he comes to the history of the kings. Moreover, Oannes wrote concerning the generation of mankind, and of their civil polity; and the following is the purport of what he said:— "There was a time in which there existed nothing but darkness and an abyss of waters, wherein resided most hideous beings, which were produced of a two-fold principle. There appeared men, some of whom were furnished with two wings, others with four, and with two faces. They had one body, but two heads; the one that of a man, the other of a woman; and likewise in their several organs both male and female. Other human figures were to be seen with the legs and horns of a goat; some had horses’ feet, while others united the hind quarters of a horse with the body of a man, resembling in shape the hippocentaurs. Bulls likewise were bred there with the heads of men; and dogs with fourfold bodies, terminated in their extremities with the tails of fishes; horses also with the heads of dogs; men, too, and other animals, with the heads and bodies of horses, and the tails of fishes. In short, there were creatures in which were combined the limbs of every species of animals. In addition to these, fishes, reptiles, serpents, with other monstrous animals, which assumed each other's shape and countenance. Of all which were preserved delineations in the temple of Belus at Babylon. "The person who presided over them was a woman named Omoroca, which in the Chaldean language is Thalatth, in Greek Thalassa, the sea; but which might equally be interpreted the moon. All things being in this situation, Belus came, and cut the woman asunder, and of one half of her he formed the earth, and of the other half the heavens, and at the same time destroyed the animals within her (or in the abyss). "All this" (he says) "was an allegorical description of nature. For, the whole universe consisting of moisture, and animals being continually generated therein, the deity above-mentioned took off his own head; upon which the other gods mixed the blood, as it gushed out, and from thence formed men. On this account it is that they are rational, and partake of divine knowledge. This Belus, by whom they signify Jupiter, divided the darkness, and separated the heavens from the earth, and reduced the universe to order. But the animals, not being able to bear the prevalence of light, died. Belus upon this, seeing a vast space unoccupied, though by nature fruitful, commanded one of the gods to take off his head, and to mix the blood with the earth, and from thence to form other men and animals, which should be capable of bearing the air. Belus formed also the stars, and the sun, and the moon, and the five planets." (Such, according to Polyhistor Alexander, is the account which Berosus gives in his first book.) --- George Smith, {The Chaldean Account of Genesis} [1876] (번역: 최광민)




    § 예수 = 오안네스?

    그럼 도대체 메이시가 무슨 근거로 오안네스와 예수를 연결하고 있는지를 메이시의 원전을 통해 살펴보자. 메이시의 {The Natural Genesis}에서 인용한다.


    http://archive.org/stream/chaldeanaccounto00smit

    (전략)....The fish-man Oannes only came up of the Erythraean Sea (the pool of Pant in the Ritual) to converse with men and teach them in the daytime. When the sun set, says Berosus, it was the custom of this Being to plunge again into the sea and abide all night in the deep for he was amphibious 1 In like manner the man who comes up out of the sea is visible only by day Even so can no man upon earth see my son or tlwse that be with him but in the daytime 2 This is parodied or fulfilled in the account of Ichthys the Christ who instructs men by day but retires to the lake of Galilee where he demonstrates his solar nature by walking the waters at night The Son of Man who hath not where to lay his head goes on board the boat to sleep 3 which is also a parallel to the Oan going down into the sea for the night 4 We are told that the disciples being on board ship when even was come in the fourth watch of the night Jesus went unto them walking upon the sea 5 Now the fourth watch began at three o clock and ended at six o clock Therefore this was about the proper time for a solar god to appear walking upon the waters or coming up out of them as the Oannes. Oannes is said to have taken no food whilst he was with men In Me daytime he used to converse with men but took no food at that season So Jesus when his disciples prayed him saying Master eat said unto them I have meat to eat that ye know not of My meat is to do the will of him that sent me 6 This is the perfect replica of the character of Oannes who took no food but whose time was wholly spent in teaching men....(후략) --- Gerald Massey, {The natural genesis: or second part of A book of the beginnings}

    메이시의 주장을 한번 정리해 보자. 메이시는 "태양신 (~ 호루스)"의 모티프가 예수설화의 모티프라고 주장하는 인물이란 점을 기억하도록 하자.

    메이시의 첫번째 논거는 아래와 같다.

    • 인어 오안네스"낮 시간"에 물 밖에 나와 인간과 접촉하여 가르치고, 밤이 되면 심해로 돌아가 머물렀다.
      • "물고기"로 표상된 예수/그리스도 역시 낮시간에 가르치고 저녁에는 갈릴리 호수로 물러가 쉬었다.
    • 예수의 일화는 새벽 3시-6시 사이에 일어난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일출 무렵을 포함하는 시간이다. 예수는 새벽에 갈릴리 호수 위를 걸음으로써 태양신의 속성을 보여주었다.
      • 오안네스가 아침에 심해에서 물 위로 올라오는 모티프는 예수가 일출시간을 낀 시간에 물 위를 걸은 것과 같은 모티프다. 
    • 그런데 오안네스 이야기가 더 오래되었다. 그러므로 오안네스가 예수의 원형이다.

    해당 복음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들을 보내시고 나서 기도하시려고 산으로 올라가셨다. 날이 저물었을 때에 배는 바다 한가운데 있었고 예수께서는 혼자 육지에 계셨다. 제자들은 마침 역풍을 만나 배를 젓느라고 몹시 애를 쓰고 있었다. 이것을 보신 예수께서는 물 위를 걸어서 제자들 쪽으로 오시다가 그들 곁을 지나쳐 가시려고 하였다. 그것은 새벽 네시쯤이었다. 제자들은 예수께서 물 위를 걸어오시는 것을 보고 유령인 줄 알고 비명을 질렀다. 그를 보고 모두 겁에 질렸던 것이다. 그러자 예수께서 곧 제자들을 향하여 "나다. 겁내지 말고 안심하여라." 하시며 그들이 탄 배에 오르시자 바람이 그쳤다. 제자들은 너무나 놀라 어찌할 바를 몰랐다. 그들은 마음이 무디어서 군중에게 빵을 먹이신 기적도 아직 깨닫지 못하였던 것이다. -- 한국어 공동번역 {마르코 복음서} 6장 46-52

    메이시의 오묘한 해석에 동의하는가? 오안네스가 새벽 무렵에 심해에서 물 위로 올라온 일화와 예수가 물 위를 걸은 것이 정말로 동일한 이야기라고 생각하는가? 



    이번에는 메이시의  두번째 주요논거를 검토해 보자.

      • 오안네스는 인간들과 함께하며 가르칠때 음식을 먹지 않았다.
        • {복음서}의 한 일화 속에서 예수도 낮시간에 먹지않고 말하길 "내 음식은 나를 보낸 이의 뜻을 행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 그런데 오안네스 이야기가 더 오래되었다. 그러므로 오안네스가 예수의 원형이다.

        해당 {복음서} 내용은 아래와 같다:

         ".....그러는 동안에, 제자들이 예수께, "랍비님, 잡수십시오" 하고 권하였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그들에게 말씀하시기를 "나에게는 너희가 알지 못하는 먹을 양식이 있다" 하셨다. 제자들은 "누가 잡수실 것을 가져다 드렸을까?" 하고 서로 말하였다.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나의 양식은, 나를 보내신 분의 뜻을 행하고, 그분의 일을 이루는 것이다. 너희는 넉 달이 지나야 추수 때가 된다고 하지 않느냐?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눈을 들어서 밭을 보아라. 이미 곡식이 익어서, 거둘 때가 되었다. 추수하는 사람은 품삯을 받으며, 영생에 이르는 열매를 거두어들인다. 그리하면 씨를 뿌리는 사람과 추수하는 사람이 함께 기뻐할 것이다. 그 러므로 '한 사람은 심고, 한 사람은 거둔다'는 말이 옳다. 나는 너희를 보내서, 너희가 수고하지 않은 것을 거두게 하였다. 수고는 남들이 하였는데, 너희는 그들의 수고의 결실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그 동네에서 많은 사마리아 사람이 예수를 믿게 되었다. 그것은 그 여자가, 자기가 한 일을 예수께서 다 알아맞히셨다고 증언하였기 때문이다. 사마리아 사람들이 예수께 와서, 자기들과 함께 머무시기를 청하므로, 예수께서는 이틀 동안 거기에 머무르셨다...."--- 한국어 새번역, {요한복음} 4장

          메이시의 이 주장은 사실도 아니다. 왜냐하면 예수는 물론 저 구절에서는 저렇게 비유로 이야기 하지만, 복음서 곳곳에서 제자들과 함께 음식을 먹고 나누기 때문이다.

          그들이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을 때에 예수께서 나타나 그들 가운데 서시며 "너희에게 평화가 있기를!" 하고 말씀하셨다. 그들은 너무나 놀랍고 무서워서 유령을 보는 줄 알았다. 예수께서는 그들에게 "왜 그렇게 안절부절 못하고 의심을 품느냐? 내 손과 발을 보아라. 틀림없이 나다! 자, 만져보아라. 유령은 뼈와 살이 없지만 보다시피 나에게는 있지 않느냐?" 하시며 당신의 손과 발을 보여주셨다. 그들은 기뻐하면서도 믿어지지가 않아서 어리둥절해 있는데 예수께서는 "여기에 무엇이든 먹을 것이 좀 없느냐?" 하고 물으셨다. 그들이 구운 생선 한 토막을 드리니 예수께서는 그것을 받아 그들이 보는 앞에서 잡수셨다. --- 한국어 공동번역, {루가의 복음서} 24장

          심지어 예수를 적대시한 이들이 예수와 그 제자를 비난한 것 가운데 하나는 예수가 "죄인들과 함께 먹고 마신다"였다. 메이시는 이런 진술들은 애써 무시하고 있다.




          § 정리

          "물 위를 걸었다"는 호루스는 어디로 갔는가?


          주장#: 예수와 호루스 모두 "물 위를 걸었다" !!!!

          이것들이 메이시와 그를 옮긴 아차리아 S (D.M. 머독)와, 또 아차리아 S가 감수한 영상물 {시대정신}이 공히 "학문적으로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바이다. 여전히 동의하는가?

          시인 메이시의 주장들이 현대 이집트학 연구자 뿐 아니라 메이시가 살았던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연구자들에게조차 무시되었던 것은 그다지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 메이시의 주장은 대체로 논리적 도약, 의도적 첨삭, 근거없는 가정들의 종합체였기 때문이다. 이 속설의 유포자들이 논리의 정체를 알게 된다면, 과연 계속해서 이런 속설이 사실인 양 유포할 수 있을까?

          하지만 슬프게도, 아무도 원전을 읽지 않는다. 그저 남들이 (잘못된 주장을) 그나마도 간략히 요약해준 (게다가 그 과정에서 오류가 증폭된) 내용에만 귀 기울일 뿐이다.

          판단은 각자의 몫.


          草人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