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 태그의 글 목록
반응형

삼위일체 7

[© 최광민] 에큐메니칼 써핑 #7: 그리스도의 제자 (Disciples of Christ) 교단 방문 First Christian Church

작성 © 최광민, Kwangmin Choi, 2003-06-22 전문복사, 문맥을 무시한 임의적 발췌/수정, 배포를 금합니다. 제목 에큐메니칼 써핑 #7: 그리스도의 제자 (Disciples of Christ) 교단 방문 First Christian Church 순서 방문 교회/교단 예전 총평 Firs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Bloomington, IN 1. 방문 교회력 : the 2nd Sunday after Pentecost 6/22/2003 2. 교회/교단 석조로 간결하지만 아름답게 지어진 교회다. Kirkwood 가에 위치한 이 교회의 이름인 "First Christian Church"는 이 지역에 "처음(First)"생긴 "기독교 교회(Chris..

[© 최광민] 기독교의 삼위일체론과 플로티노스의 존재유출론은 유사할까?

작성 © 최광민 2017-04-18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 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발췌, (3)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글의 URL 주소 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목 [© 최광민] 기독교의 삼위일체론과 플로티노스의 신플라톤주의는 유사할까? 순서 기독교의 성부-성자-성령 vs 플로티노스의 일자-정신-세계혼은 유사할까? 삼위일체론은 유대교에서 유래했을까? 그리스 철학을 배제한 기독교 신학은 가능한 것일까?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기독교 신학에 준 나쁜 영향은 무엇일까? Raphael, The School of Athens, 1509–1511, fresco at the Raphael Rooms, Apostolic Palace, Vat..

[© 최광민] 예수 vs. 예수 #07: 삼위일체 개념은 어디서 유래했을까?

작성© 최광민 (Kwangmin Choi). 2012-07-06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 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발췌, (3)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글의 URL 주소 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제목[© 최광민] 예수 vs. 예수 #07: 삼위일체 개념은 어디서 유래했을까? 요약발렌티누스파 계열 그노시스파들의 에온발출설과 보편교회의 삼위일체론을 비교하고, 왜 AD 2-4세기의 기독교 교부들이 발렌티누스의 발출 개념을 거부했는지 살펴본다.목차메모기억하나, 셋, 삼위일체 (Trinity), 삼위-일체 (Tri-Unity)우시아, 휘포스타시스세 신적존재: 성부, 성자, 성령알렉산드리아의 필론: 아브라함이 만난 '세 사람'알렉산드리아의 발렌티누스발렌티..

[© 최광민] 예수 vs. 예수 #04: 다바르, 멤라, 로고스

작성© 최광민 (Kwangmin Choi), 2004-05-17전문복사, 문맥을 무시한 임의적 발췌/수정, 배포를 금합니다.제목 예수  vs. 예수 #04: 다바르, 멤라, 로고스,요약 기독교에서 그리스도에게 적용되는 용어 "말씀" 혹은 "로고스"를 {탈굼}에 반영된 유대인의 사고와 헬레니즘의 영향 하에 있던 알렉산드리아의 유대인 필론의 철학과 어떤 유사점과 상이점을 보이는 지를 서술하며, 과연 기독교가 채용한 이 개념의 기원을 헤라클레이토스와 파르메니데스의 철학까지 소급해 올라가야 하는지에 대해 간략히 논한다. 순서{요한복음} 1장 다바르, 멤라, 밀타 필론의 로고스(λόγος ): 신의 독생자 기독교의 로고스 (λόγος): 그리스도 맺음말 참고 참고:오래된 논문이긴 하지만, 하바드 대학 Georg..

[© 최광민] 예수 vs. 예수 #03: 콘스탄티누스를 위한 약간의 변호

작성© 최광민, Kwangmin Choi, 2007-03-20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모든 글과 번역문 들에 대해 (1) 복제-배포, (2) 임의수정 및 자의적 발췌, (3) 화면캡처를 금하며, (4) 인용 시 글의 URL 주소 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제목[© 최광민] 예수 vs. 예수 #3: 콘스탄티누스를 위한 약간의 변호요약콘스탄티누스 1세에 대한 평가는 종종 과도하게 폄하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대중들은 이런 평가의 어디까지가 사료에 기반한 것이고 어디까지가 정황에 기초해 추론된 것인지 분명히 알지 못한다. 원전/1차사료를 통해 비평해 본다.순서도입콘스탄티누스는 장인을 고문해 죽인 미치광이일까? 콘스탄티누스는 처자식을 고문해 죽인 미치광이일까? 콘스탄티누스는 공포 분위기 속에서 니케아 회의..

[© 최광민] 예수 vs. 예수 #02: 예수는 언제부터 신이었을까?

작성© 2007, 최광민 (Kwangmin Choi). 2007-03-07전문복사, 문맥을 무시한 임의적 발췌, 수정, 배포를 금합니다. 제목예수 vs. 예수 #2: 예수는 언제부터 신이었을까?(부제: 아리우스가 "정말" 믿었던 것)요약 아리우스의 그리스도론이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로 다뤄졌던 AD 325년의 니케아 회의를 중심하여 AD 1세기부터 니케아 회의까지의 기독교 교부들의 입장과, 니케아 회의 이후의 아리우스파 및 준-아리우스파의 입장을 원전을 통해 살펴보고, 소설 {다빈치 코드}류의 팩션들과 도올의 저작 등을 통해 유포된 니케아 회의에 대한 대중적인 오해에 대해 논한다.순서도입속설, 속설들{(신약)성서}의 진술 나자(조)렌파, 에비온파 에큐메니컬 신조들니케아 신조 (AD 325년)콘스탄티..

[© 최광민] 예수 vs. 이사 #2: {코란} 속의 삼위일체

작성 © 최광민, Kwangmin Choi, 2004-05-30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글들에 대해 저자의 동의없는 전문복제/배포 - 임의수정 및 자의적 발췌를 금하며, 인용 시 글의 URL 링크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목 예수 vs. 이사 #2: {코란} 속의 삼위일체 순서 {코란}의 삼위일체 비판 성부-성자-성모? 나사라이오이 (나자렌파) / Nasaraioi 콜리리디아노이 / Collyridianoi 맺음말 § {코란}의 삼위일체 비판 이슬람교의 경전 {꾸란} (이하, {코란})가 기독교를 비판하는 주요 논거는 바로 "삼위일체" 교리다. {Qur'an}영역본 https://archive.org/details/QuranEnglishTranslation 이슬람교는 신의 단일성 (타우히드/T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