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광민] 예수 vs. 호루스 #13: 호루스도 예수처럼 배신 당해 죽은 후 부활했을까?


역사|종교|철학

[© 최광민] 예수 vs. 호루스 #13: 호루스도 예수처럼 배신 당해 죽은 후 부활했을까?

草人! 2021. 7. 31. 03:31
작성

© 최광민, Kwangmin Choi, 2009-10-29

저작권(© 최광민)이 명시된 글들에 대해 저자의 동의없는 전문복제/배포 - 임의수정 및 자의적 발췌를 금하며, 인용 시 글의 URL 링크 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목

[© 최광민] 예수 vs. 호루스 #13: 호루스도 예수처럼 배신 당해 죽은 후 부활했을까?

순서
    1. 어떤 주장
    2. "어린" 호루스의 "죽음": 세트가 보낸 전갈 우하트
    3. 세트(=티폰)가 "성인" 호루스를 "배신"하고 "죽였다"? 
    4. (남)십자성에 못박힌 호루스/태양의 3일 만의 부활?
    5. 맺음말

      § 어떤 주장

      예수는 이집트의 신 호루스와 정확히 같은 일생의 궤적을 공유했으며, 예수가 죽어서 부활한 이야기는 호루스가 죽어서 무덤에 갔다가 부활한 이야기의 표절일까?


      주장 #: 호루스는 예수처럼 죽어서 무덤에 안장되었다가 부활했다!!

      이 주장은 기원은 19/20세기 영국의 시인이자 아마추어 신화 연구가였던 제럴드 메이시가 주창한 예수=호루스 카피캣 이론이며, 아래는 메이시의 주장을 반복해서 현대에 펼치고 있는 카피캣 (음모)이론가 D. M. 머독 (필명, Acharia S)의 책을 발췌/정리한 영상물 {시대정신/Zeitgeist: the movie}의 스냅샷과 나레이션 원문이다.



      {Zeitgeist: the Movie}의 한 장면 (출처: archive.org)

      Broadly speaking, the story of Horus is as follows:
      1. Horus was born on December 25th of the virgin Isis-Meri. 
      2. His birth was accompanied by a star in the east, which in turn, three kings followed to locate and adorn the new-born savior
      3. At the age of 12, he was a prodigal child teacher, and
      4. at the age of 30 he was baptized by a figure known as Anup and thus began his ministry.
      5. Horus had 12 disciples he traveled about with, performing miracles such as healing the sick and walking on water. 
      6. Horus was known by many gestural names such as The Truth, The Light, God's Annointed Son, The Good Shepherd, The Lamb of God, and many others.
      7. After being betrayed by Typhon, Horus was crucified, buried for 3 days, and thus, resurrected. (호루스는) 티폰에게 배신당해 십자가형을 받아 죽은 후 3일 후 부활했다.

      위의 설명에 따르면 {복음서} 속의 예수는 이집트의 신 호루스의 삶의 궤적을 완전히 그대로 따르고 있는 듯 보이며, 따라서 예수는 호루스의 완전한 표절이라고 해야할 듯 싶다.

      하지만 정말일까? 호루스가 제자 유다에게 배신당하고 죽은 예수처럼 티폰/세트에게 배신당해 죽었을까? 심지어 십자가에서? 심지어 부활까지? 그것도 3일 만에?

      그럼 메이시와 그 이론의 신봉자들이 어떤 근거를 가지고 이런 주장을 펼친 것인지, 그 주장이 과연 타당한 논거에 바탕한 것인지를 직접 원전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 "어린" 호루스의 "죽음"

      고대 이집트 문건에 "호루스의 죽음"을 다루는 내용이 있을까?

      물론 그렇다!

      하지만 고대 이집트인들이 "호루스의 죽음"을 말할 때의 그 호루스는 (1) "세트에 의해 배신당해 죽은 것도", (2) "십자가에 달려 죽은 것"도, (3) 심지어 "예수처럼 죽어서 장례를 치렀다가 3일 만에 부활"한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이집트 종교에서 소위 "호루스의 죽음"과 관련된 내용은 이시스가 오빠이자 남편인 오시리스를 죽인 (역시 남자형제인) 세트에게 감금되어 있다가, 토트와 일곱 전갈(여신)의 도움으로 탈출한 후 어린 호루스를 몰래 키우던 때, (세트가 보낸) 전갈 우하트에 호루스가 쏘여 일어난 일이기 때문이다. 즉, 호루스의 소위 "죽음"은 (예수와 달리) 그의 전성기에 일어난 일이 아니며, 따라서 죽음에 대한 의미조차 다르다. 아울러 이 "호루스의 죽음" 이야기의 초점은 호루스가 아니라 이시스다.


      PLATE XVII / XVIII, {The Metternich Stele}, 이집트 제 30왕조 380-342 B.C

      이 내용은 피라밋 텍스트 및 이후의 파피루스에 대개의 경우 주문의 형태로 남아있다.  런던 대영박물관의 오리엔트 문명 연구자였던  Ernst A. Wallis Budge (이하, "벗지")가 고대 이집트 문건들로부터 번역해 1912년 출판한 {Legends of the Gods: The Egyptian Texts}을 통해 그 내용을 살펴보자. 원 내용은 메테르니히 석비에 새겨져 있다. 이 책의 [THE LEGEND OF THE DEATH OF HORUS THROUGH THE STING OF A SCORPION AND OF HIS RESURRECTION THROUGH THOTH, AND OTHER MAGICAL TEXTS.] 편에는 뱀과 독충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이집트인들이 사용한 주문들이 등장한다. 이 주문들 속에는 전갈에 쏘여 죽은 어린 호루스와 아들의 죽음을 슬퍼하는 이시스의 오열, 그리고 호루스를 살려내는 이시스의 모티프가 주문과 함께 반복해서 등장한다.

      관련된 부분만 발췌해서 소개하겠다.

      PLATE XVII / XVIII, {The Metternich Stele}: I. INCANTATIONS AGAINST REPTILES AND NOXIOUS CREATURES IN GENERAL.

      http://www.sacred-texts.com/egy/leg/leg28.htm
      http://www.sacred-texts.com/egy/leg/leg11.htm

      "O Isis, O Isis, come thou to thy Horus, O thou woman of the wise mouth! Come to thy son"--thus cried the gods who dwelt in her quarter of the town--"for he is as one whom a scorpion hath stung, and like one whom the scorpion Uhat, which the animal Antesh drove away, hath wounded."

      74. [Then] Isis ran out like one who had a knife [stuck] in her body, and she opened her arms wide, [saying] "Behold me, behold me, my son 75 Horus, have no fear, have no fear, O son my glory! No evil thing of any kind whatsoever shall happen unto thee, [for] there is in thee the essence (or, fluid) which made the things which exist. 76. Thou art the son from the country of Mesqet, 1 [thou hast] come forth from the celestial waters Nu, and thou shalt not die by the heat of the poison. 77. Thou wast the Great Bennu, 2 who art born (or, produced) or; the top of the balsam-trees 1 which are in the House of the Aged One in Anu (Heliopolis). Thou 78 art the brother of the Abtu Fish, 2 who orderest what is to be, and art the nursling of the Cat 3 who dwelleth in 79 the House of Neith. The goddess Reret, 4 the goddess Hat, and the god Bes protect thy members. Thy head shall not fall to the Tchat fiend 80 that attacketh thee. Thy members shall not receive the fire of that which is thy poison. Thou shalt not go backwards on the land, and thou shalt not be brought low 81 on the water. No reptile which biteth (or, stingeth) shall gain the mastery over thee, and no lion shall subdue thee or have dominion over thee. Thou art the son of the sublime god 82 who proceeded from Keb. Thou art Horus, and the poison shall not gain the mastery over thy members. Thou art the son of the sublime god who proceeded from Keb, and thus likewise shall it be with those who are under the knife. And the four 83 august goddesses shall protect thy members."

      (중략)

      89. Horus was bitten (i.e., stung) in Sekhet-An, to the north of 90 Hetep-hemt, whilst his mother Isis was in the celestial houses making a libation for her brother Osiris. And Horus sent forth his cry into 92 the horizon, and it was heard by those who were in . . . . . . Thereupon the keepers of the doors 93 who were in the [temple of] the holy Acacia Tree started up at the voice of Horus. 94. And one sent forth a cry of lamentation, and Heaven gave the order that Horus was to be healed. 95. And [the gods] took counsel [together] concerning the life [of Horus, saying,] 96 "O goddess Pai(?), O god Asten, 97 who dwellest in Aat-Khus(?) . . . . . . 1 thy . . . . . . enter in 98 . . . . . lord of sleep . . . . . . the child Horus. Oh, Oh, 99 bring thou the things which are thine to cut off the poison which is in every member 100 of Horus, the son of Isis, and which is in every member of him that is under the knife likewise."

      [The narrative of the stinging of Horus by a scorpion is continued thus]:

      "I am Isis, who conceived a child by her husband, and she became heavy with Horus, the divine [child]. I gave birth to Horus, the son of Osiris, in a nest of papyrus plants. 1 I rejoiced exceedingly over this, because 169 I saw [in him one] who would make answer for his father. I hid him, and I concealed him through fear of that [fiend (?)]. 2 I went away to the city of Am, [where] the people gave thanks [for me] through [their] fear of my making trouble [for them]. I passed the day in seeking to provide food for the child, [and] on returning to take Horus into my arms I found him, Horus, the beautiful one 170 of gold, the boy, the child, without [life]. He had bedewed the ground with the water of his eye, and with foam from his lips. His body was motionless, his heart was powerless to move, and the sinews (or, muscles) of his members were [helpless]. I sent forth a cry, [saying]:

      "'I, even I, 171 lack a son to make answer [for me]. 1 [My] two breasts are full to overflowing, [but] my body is empty. [My] mouth wished for that which concerned him. 2 A cistern of water and a stream of the inundation was I. The child was the desire of my heart, and I longed to protect him (?). I carried him in my womb, I gave birth to him, 172 I endured the agony of the birth pangs, I was all alone, and the great ones were afraid of disaster and to come out at the sound of my 173 voice. My father is in the Tuat, 3 my mother is in Aqert, 4 and my elder brother 174 is in the sarcophagus. Think of the enemy and of how prolonged was the wrath of his heart 175 against me, [when] I, the great lady, was in his house.'

      "I cried then, [saying,] 'Who 176 among the people will indeed let their hearts come round to me?' I cried then 177 to those who dwelt in the papyrus swamps (or, Ateh), and they inclined to me straightway. 178. And the people came forth to me from their houses, and they thronged about me 179 at [the sound of] my voice, and they loudly bewailed with me the greatness of my affliction. 180. There was no man there who set restraint (?) on his mouth, every person among them lamented 181 with great lamentation. There was none there who knew how to make [my child] to live.

      "And there came forth unto me a woman who was [well] known 182 in her city, a lady who was mistress of her [own] estate. 1 She came forth to me. Her mouth possessed 183 life, and her heart was filled with the matter which was therein, [and she said,] 'Fear not, fear not, O son Horus! 184. Be not cast down, be not cast down, O mother of the god. The child of the Olive-tree is by the mountain of his brother, 185 the bush is hidden, and no enemy shall enter therein. The word of power of Tem, the Father of the gods, 186 who is in heaven, maketh to live. Set shall not enter into this region, he shall not go round about it. 187. The marsh of Horus of the Olive-tree is by the mountain of his brother; those who are in his following shall not at any time . . . . . . it. 188. This shall happen to him: Horus shall live for his mother, and shall salute (2) [her] 189 with his mouth. A scorpion hath smitten (i.e., stung) him, and the reptile Aun-ab hath wounded him.'" 190.

      Then Isis placed her nose in his mouth 2 so that she might know whether he who was in 191 his coffin breathed, and she examined the wound 3 of the heir of the god, and she found that there was poison 192 in it. She threw her arms round him, and then quickly she leaped about with him like fish when they are laid 193 upon the hot coals, [saying]:

      "Horus is bitten, O Ra. Thy son is bitten, [O Osiris]. 194. Horus is bitten, the flesh and blood of the Heir, the Lord of the diadems (?) of the kingdoms of Shu. 195. Horus is bitten, the Boy of the marsh city of Ateh, the Child in the House of the Prince. 196. The beautiful Child of gold is bitten, the Babe hath suffered pain and is not. 1 Horus is bitten, he the son of Un-Nefer, 197 who was born of Auh-mu (?). Horus is bitten, he in whom there was nothing abominable, 198 the son, the youth among the gods. Horus is bitten, he for whose wants I prepared in abundance, 199 for I saw that he would make answer 2 for his father. Horus is bitten, he for whom [I] had care 200 [when he was] in the hidden woman [and for whom I was afraid when he was] in the womb of his mother. Horus is bitten, he whom I guarded 201 to look upon. I have wished for the life of his heart. Calamity hath befallen the child 202 on the water, and the child hath perished."

      죽은 호루스를 두고 이시스가 장탄식한 후, 이시스의 자매인 네프티스가 눈물을 흘리며 등장한다. 눈물로 하늘에 호소하자고 제안한다.

      Then came Nephthys 203 shedding tears and uttering cries of lamentation, and going round about through the papyrus swamps. And Serq [came also and they said]: 204 "Behold, behold, what hath happened to Horus, son of Isis, and who [hath done it]? Pray then to heaven, 205 and let the mariners of Ra cease their labours for a space, for the Boat of Ra cannot travel onwards [whilst] son Horus 206 [lieth dead] on his place."

      토트가 등장해 이시스의 눈물에 신들이 감응해 호루스가 살아나게 되었음을 선언한다.

      ....."Horus is protected by the weeping of his mother, and by the cries of grief of his brethren; and he 232 who is under the knife is protected likewise. Horus is protected by his own name and heart, and the gods go round about him to make his funeral bed; and he who is under the knife is protected likewise."

      "233. Wake up, Horus! Thy protection is established. Make thou happy the heart of thy mother Isis. The words of Horus shall bind 234 up hearts, he shall cause to be at peace him who is in affliction. Let your hearts be happy, O ye who dwell in the heavens (Nut). Horus, he 235 who hath avenged (or, protected) his father shall cause the poison to retreat. Verily that which is in the mouth of Ra shall go round about (i.e., circulate), and the 236 tongue of the Great God shall repulse [opposition]. The Boat [of Ra] standeth still, and travelleth not onwards. The Disk is in the [same] place where it was yesterday to heal 237 Horus for his mother Isis, and to heal him that is under the knife of his mother 1 likewise. 238. Come to the earth, draw nigh, O Boat of Ra, make the boat to travel, O mariners of heaven, 239 transport provisions (?) of . . . . . . Sekhem 2 to heal Horus for his mother Isis, and to heal 240 him that is under the knife of his mother likewise. Hasten away, O pain which is in the 241 region round about, and let it (i.e., the Boat) descend upon the place where it was yesterday to heal Horus for his mother Isis, 242 and to heal him that is under the knife of his mother likewise. Get thee round and round, O bald (?) fiend, without horns 243 at the seasons (?), not seeing the forms through the shadow of the two Eyes, to heal Horus for his mother 244 Isis, and to heal him that is under the knife likewise. Be filled, O two halves of heaven, be empty, O papyrus roll, return, O life, into the living to heal Horus for his it mother Isis, 245 and to heal him that is under the knife likewise. Come thou to earth, O poison. Let hearts be glad, and let radiance (or, light) go round about.

      전갈에 쏘여 죽었다가 토트에 의해 살아난 "아기 호루스" 설화가 당대에 가장 굴욕적이고 잔인한 방식으로 처형당한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이야기에 대응된다고 판단되는가?


      {Ercole de’ Roberti (Active 1479 - Died 1496), 피에타

      혹자는 죽은 아들을 위해 우는 어머니 이시스의 모티프와 죽은 예수를 안고 울었을 피에타상 속의 마리아를 병치시키려 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호루스를 살린 것이 신들의 동정을 산 어머니 이시스의 탄식과 눈물인 반면, 성모 마리아의 눈물은 {복음서}에 묘사된 예수의 부활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  심지어 {복음서}에는 마리아의 오열 장면이 아예 묘사되어 있지 않다. 그것은 즉, "성모 마리아의 슬픔"이란 모티프는 초기 기독교에서 전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아울러 어린 호루스가 "죽었다가 3일 만에" 살아났다는 식의 진술은 이집트 종교에 등장하지 않으니, "어린 호루스의 죽음"과 "3일 만의 부활"이란 모티프는 서로 상관이 없다.




      § 세트(=티폰) "성인(成人)" 호루스를 "배신"하여 "죽였다"?

      "아이" 호루스의 죽음과 부활은 그렇다치고, 그럼 "성인" 호루스의 죽음은 세트가 호루스를 "배신"한 결과 일어난 것일까?

      우선, {시대정신, Zeitgeist: the Movie} 속의 나레이션을 다시 한번 읽어보자.

      After being betrayed by Typhon, Horus was crucified, buried for 3 days, and thus, resurrected. 

      (호루스는) 티폰에게 배신당해 십자가형을 받아 죽은 후 3일 후 부활했다.

      정말?

      그럼 고대 이집트 자료를 직접 찾아 읽어보자. 이집트 제 20왕조 시절의 문서군인 체스터 베티 파피루스에 따르면, 호루스가 오시리스의 정통성을 잇는 문제로 세트와 싸우는 과정은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William Kelley Simpson, {The Literature of Ancient Egypt: An Anthology of Stories, Instructions, Stelae, Autobiographies, and Poetry}, Third Edition

      {The Literature of Ancient Egypt : An Anthology of Stories, Instructions, Stelae, Autobiographies, and Poetry}에 영어로 번역된 내용을 바탕해 정리해 보겠다.

      1. 장성한 호루스는 신들의 대표인 겝의 면전에 가서 오시리스의 왕위를 계승하겠노라고 탄원한다. 이때 9신들 (the Enneads)가 모이는데, 토트와 (라의 아들) 슈, 그리고 아툼 등 여러 신들이 오시리스의 아들이 살아있는데 왕위가 삼촌인 세트에게로 가는 것은 옳지 않으며, 따라서 오시리스의 적법한 계승자는 호루스이며 세트는 찬탈자라며 라를 압박한다. 호루스의 어머니 이시스도 아들을 돕는다. 
      2. 한편 라는 자신의 권위를 무시하고 친-호루스계 신들이 나대는 것에 대해 몹시 불쾌해하며 침묵한다. 아울러 누트의 아들인 세트는 신들에 대한 (특별히 라에 대한) 자신의 영향력이 막강함을 과시한다. 
      3. 세트에 위세에 밀려 한 발 밀려난 친-호루스계 신들은 신 나베브제데/Banabdjede를 선임해 정통성 문제를 판단해 달라고 하지만, 바네브제데는 이 문제는 신의 어머니인 여신 Neith에게 문의하는 것이 좋겠다고 한다. 아툼의 편지를 받은 네이트는 오시리스의 왕위는 마땅히 호루스에게 가야 한다고 판정하며, 만약 세트에게 정통성을 준다면 자신은 분노할 것이라고 일갈한다.
      4. 한편, 헬리오폴리스에 있는 라는 세트의 지위를 보존하고 두 딸 아낫과 아스타롯을 주는 한편, 호루스는 오시리스의 왕위를 잇게 하려는 참이었다. 즉, 왕국을 둘로 나누는 것이다. 
      5. 그때 네이트의 편지를 들고 토트가 등장해서 라의 모친인 네이트의 판정을 발표한다. 자신의 권위가 실추되었다고 느낀 라는 크게 진노하여 호루스를 비난하고, 예상못한 역풍을 맞은 친-호루스 측 신들과 친-세트 측 신들이 언쟁을 벌인다.
      6. 분위기가 사나워지자, 라의 딸인 하토르가 등장해 아버지 면전에서 자신의 성기를 들춰보이자, 라는 웃음을 터뜨리고 마음을 누그러뜨린다. 라는 자리에 앉은 후 세트와 호루스에게 스스로를 변호해 보라고 한다.
      7. 이어서 친-세트계와 친-호루스계가 소리를 지르며 싸운다. "삼촌이 아직 살아있는데 조카가 계승하는 것이 옳으냐?"라는 것이 친-세트계의 주장이라면, "오시리스의 친자가 멀쩡히 살아있는데, 삼촌이 계승하는 것이 옳으냐?"라는 것이 친-호루스계의 주장이었다. (즉, 호루스가 오시리스의 자식이라는 점에는 아무런 이견이없다.)
      8. 호루스와 이시스는 분노한다.
      9. 세트 역시 분노해서 호루스나 이시스 중의 하나는 반드시 죽일 것이라고 맹세한다. 아울러 신들의 회의에서 이시스를 쫓아낼 것을 청원하고, 라는 이시스를 섬으로 쫓아낸다.
      10. 젊은 과부로 변장하고 다시 신들의 회의장으로 돌아온 이시스는 세트를 꾀어내어 "낯선 자가 남편의 유산을 아들에게서 빼앗으려한다"는 이야기를 하자, 세트는 "아들이 살아있는데 남이 그것을 차지하는게 옳으냐?"라고 반문한다. 그러자 이시스는 연으로 변해 하늘을 날며 세트에게 부끄러운 줄 알라고 꾸짖고 사라진다.
      11. 라는 이제 어떻게 변명할 것인지를 세트에게 묻고, 결국 신들의 회의는 왕권을 호루스에게 주는 것으로 결정내린다.

      여기까지는 일단 법정에서의 다툼이며, 이어 호루스와 세트의 실제 대결이 이어진다. 그럼 호루스와 세트의 대결 중에 과연 호루스가 죽기라도 했는지 한번 살펴보자. 역시 {체스터 베트 파피루스}에서 정리한다. 

      1. 세트는 격노하며 호루스를 반드시 익사시킬 것이라고 장담한다.
      2. 세트는 호루스에게 하마로 변신해 심해에서 잠수대결을 벌이자고 제안한다. 석달 이상 잠수할 수 있는 자에게 왕권이 가게 하자는 제안이다. 호루스는 제안을 수락한다.
      3. 세트와 호루스가 오랫동안 잠수해 있자, 이시스는 세트가 호루스를 익사시켰다고 생각하고 마법작살을 물 속에 던지는데 호루스가 작살에 맞았다. 잠수 중에 작살을 맞은 호루스는 작살을 빼달라고 어머니 이시스를 향해 비명을 지른다. 
      4. 이시스가 다음번 던진 작살은 이번에는 세트를 맞추는데, 세트는 여동생인 이시스에게 작살을 빼달라고 요구하고, 동정을 느낀 이시스는 세트를 풀어준다.

      물론 세트는 호루스를 익사시킨 것이 아니다. 둘은 얌전히 물 속에서 잠수대결을 하던 중이었을 뿐이다. 세트가 호루스에게 어떤 트릭을 썼다는 암시는 없다.



      자, 여기서 "패륜아" 호루스가 등장한다. 

      1. 어머니 이시스가 세트를 풀어준 것을 안 호루스는 화가나서 칼로 이시스의 머리를 잘라 잘린 머리를 손에 들고 산으로 올라간다.
      2. 이시스는 목이 없는 석상으로 변신하는데, 이를 본 라는 분노해서 호루스에게 응분의 가혹한 징벌을 내리겠노라 선언하고 신들을 호루스를 찾아 산으로 간다.
      3. 오아시스의 나무 아래 누워있던 호루스를 발견한 세트는 그를 제압하고 두 눈을 뽑아 땅에 묻고 돌아와서는 호루스를 못봤다고 시치미 뗀다.
      4. 한편 여신 하토르는 호루스가 부근 사막에서 울부짖고 있는 것을 발견해서 호루스의 빈 눈구멍에 가젤의 젖을 부어넣어 두 눈을 회복/재생시켰다.
      5. 하토르는 라에게 호루스를 발견하고 두 눈을 회복시킨 이야기를 보고하고, 라는 호루스와 세트를 다시 법정에 소환한다.

      역시 호루스는 세트에 의해 "죽은 것"이 아니다. 물론 세트에게 "배반당한" 것도 아니다. 그냥 "어머니의 머리를 잘라 도망가서 쉬다가 세트의 공격을 당해 두 눈이 뽑혔을 뿐"이다.

      이 "세트에게 두 눈 뽑힌 호루스"란 이집트 제 20왕조의 모티프와 예수의 시대로부터 멀지않은 AD 1세기 말 그리스의 아폴론 신관이자 저술가였던 플루타르코스가 전하는 알렉산드리아 버전 속에서는 어떻게 묘사되는지 살펴보자.

      역시 플루타르코스의 {모랄리아 - 이시스와 오시리스}에서 인용한다. 

      52 But now let us take up again the proper subject of our discussion. 53 1 Isis is, in fact, the female principle of Nature, and is receptive of every form of generation, in accord with which she is called by Plato304 the gentle nurse and the all-receptive, and by most people has been called by countless names, since, because of the force of Reason, she turns herself to this thing or that and is receptive of all manner of shapes and forms. She has an innate love for the first and most dominant of all things, which is identical with the good, and this she yearns for and pursues; but the portion which comes from evil she tries to avoid and to reject, for she serves them both as a place and means of growth, but inclines always towards the better and offers to it opportunity to create from her and to impregnate her with effluxes and likenesses in which she rejoices and is glad that she is made pregnant and teeming with these creations. For creation is the image of being in matter, and the thing created is a picture of reality. 54 It is not, therefore, out of keeping that they have a legend that the soul of Osiris is everlasting and imperishable, but that his body Typhon oftentimes dismembers and causes to disappear, and that Isis wanders hither and yon in her search for it, and fits it together again;305 for that which really is and is perceptible and good is superior to destruction and change. The images from it with which the sensible and corporeal is impressed, and the relations, forms, and likenesses which this take upon itself, like impressions of seals in wax, are not permanently lasting, but disorder and disturbance overtakes them, bbeing driven hither from the upper reaches, and fighting against Horus,306 whom Isis brings forth, beholden of all, as the image of the perceptible world. Therefore it is said that he is brought to trial by Typhon on the charge of illegitimacy, as not being pure nor uncontaminated like his father, reason unalloyed and unaffected of itself, but contaminated in his substance because of the corporeal element. He prevails, however, and wins the case when Hermes,306 that is to say Reason, testifies and points out that Nature, by undergoing changes of form with reference to the perceptible, duly brings about the creation of the world. p133cThe birth of Apollo from Isis and Osiris, while these gods were still in the womb of Rhea, has the allegorical meaning that before this world was made visible and its rough material was completely formed by reason, it was put to the test by Nature and brought forth of itself the first creation imperfect. This is the reason why they say that this god was born in the darkness a cripple, and they call him the elder Horus; for there was then no world, but only an image and outline of a world to be. 55 1 But this Horus is himself perfected and complete; but he has not done away completely with Typhon, but has taken away his activity and strength. Hence they say that at Kopto the statue of Horus holds in one hand the privy members of Typhon, and they relate a legend that Hermes cut out the sinews of Typhon, and used them as strings for his lyre, dthereby instructing us that Reason adjusts the Universe and creates concord out of discordant elements, and that it does not destroy but only cripples the destructive force. Hence this is weak and inactive here, and combines with the susceptible and changeable elements and attaches itself to them, becoming the artificer of quakes and tremblings in the earth, and of droughts and tempestuous winds in the air, and of lightning-flashes and thunderbolts.

      Moreover, it taints waters and winds with pestilence, and it runs forth wanton even as far as the moon, oftentimes confounding and darkening the moon's brightness; according to the belief and account of the Egyptians, Typhon at one time smites the eye of Horus, and at another time snatches it out and swallows it, and then later gives it back again to the Sun. By the smiting, they refer allegorically to the monthly waning of the moon, and by the crippling, to its eclipse, which the Sun heals by shining straight upon it as soon as it has escaped the shadow of the earth.

      ..... 이집트인들의 신앙과 설명에 따르면, 티폰/세트는 한번은 호루스의 눈을 세게 때렸다고 하며. 혹은 한 눈을 뽑아서 삼켰다가 나중에 돌려줬다고도 한다. 이집트인들은 세트가 호루스의 눈을 때렸다는 모티프를 통해 은유적으로 달이 매 달 기우는 것을 상징했고, 호루스가 불구가 된 모티프를 통해 일식을, 호루스가 회복된 모티프를 통해 태양이 지구의 그림자를 벗어나자마자 강렬한 햇살이 비추는 것을 통해 일식 후 태양이 회복되는 것을 암시했다.  --- 번역: 최광민

      --- Plutarch, {Moralia: Isis and Osiris}, published in Vol. V,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 193, 번역: 최광민

      호루스의 눈이 뽑히고 회복된 이야기로부터 "예수의 수난과 부활"이란 모티프가 유래한 것일까? 무려 "3일"이나 지속되는 "일식"도 있던가?



      그래서 과연 기독교가 막 시작된 AD 1세기의 이집트인들이 "세트가 (성인) 호루스를 죽였다"고 믿었던가? 플루타르코스가 전하고 있듯이 물론 그렇지 않다. 호루스는 부상을 당했다가 회복된 것이지, 죽었다가 살아난 것이 아니다. 아울러 "호루스의 눈"과 관련된 이집트인의 호루스 설화는 "일식"과 관련된 것이지, 오늘날 인터넷 등을 통해 널리 유포된 생각처럼 "동지"와 관련된 것도 아니다.

      이번에도 호루스는 세트에 의해 "죽은" 것이 아니다.

      1. 라는 호루스와 세트에게 싸우지 말고 화해할 것을 명령하고, 둘은 일시적으로 거짓 화해를 한다. 
      2. 세트는 자기 집으로 호루스를 초대한다.
      3. 세트의 집에서 호루스가 잠들었을때, 세트는 호루스에 대한 자신의 우위를 신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겁탈을 시도한다. 
      4. 세트가 호루스의 (항문에) 사정하기 직전에 호루스가 가랑이 사이에 손을 집어넣어 세트의 정액을 받아낸다. 
      5. 이시스에게도 달려간 호루스가 자초지종을 이시스에게 설명하면서 손에 담아온 세트의 정액을 보여주자, 이시스는 호루스의 손을 자르고, 약물을 호루스의 성기에 발라 발기시킨 후 정액을 그릇에 받아낸다.
      6. 다음날 이시스는 세트의 정원사를 만나 세트가 상추 만을 먹는 사실을 알아내고 상추 위에 호루스의 정액을 뿌린다. 이를 모르는 세트는 평소처럼 상추(와 함께 호루스의 정액을) 먹게 된다.
      7. 세트는 호루스에게 법정에 가자고 한다.
      8. 자기변론이 주어지자, 세트는 자기가 호루스의 몸 속에 사정함으로 남자 역할을 했으므로 자신이 호루스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 이야기를 들은 신들은 호루스에게 침을 뱉으며 그를 경멸한다.
      9. 호루스는 웃으면서 세트의 말은 모두 거짓이며, 그 증거로 세트의 정액을 소환해 보라고 한다.
      10. 신들이 세트의 정액을 소환하자, 세트의 정액은 늪지의 물 속에서 답한다.
      11. 이번에는 토트가 호루스의 정액을 소환하자, 호루스의 정액은 세트의 몸 속에서 머리로 이동해서 그 위로 태양 디스크 형태로 솟아 오른다.
      12. 신들은 호루스의 정액이 세트의 몸 속에서 발견되었으므로, 세트에 대한 호루스의 우위를 선언한다.

      누가 누구를 속였는가? 혹은 배신하였는가? 이야기는 또 이어진다.

      1. 분노한 세트는 이에 불복하고, 호루스에게 돌로 만든 배로 하는 1:1 경주를 제안한다. 
      2. 호루스는 남들이 보지 못하는 밤 시간에 교묘하게 돌 처럼 외관을 칠한 소나무 배를 물에 띄웠다.
      3. 호루스의 배가 돌로 된 배라고 생각한 세트는 큼직한 돌 배를 만든다.
      4. 신들 앞에서 진수식을 할때, 세트의 배는 즉시 가라앉았다. 
      5. 세트는 하마로 변신해 호루스의 배로 달려들고, 호루스는 작살로 세트를 찌르려한다.
      6. 신들은 호루스가 세트를 죽이지 못하게 개입한다. 호루스는 작살을 거두고 강을 따라 내려가 네이트에게 80년을 끌어온 최종판결에 개입해 달라고 요청한다.
      7. 라는 오시리스의 견해를 묻는 편지를 토트로 하여금 쓰게 한다.
      8. 편지를 받고 화가 난 오시리스는, 자신의 아들인 호루스에게 전 이집트의 통수권을 주지 않으면, 안 그래도 신을 두려워 않는 악인들과 악령들이 꽉 차있는 저승의 문을 열어서 세상에 악령들과 악인들을 풀어놓겠다고 위협한다. 
      9. 세트는 호루스와 중간지대의 섬에서 호루스와 한번 더 대결하지만 패배하고, 이시스는 수갑을 채워 세트를 법정에 세운다. 세트는 마침내 승복한다.
      10.  신들의 법정은 최종적으로 호루스의 유일한 정통성을 인정하고, 결국 이제서야 세트는 물러나게 된다.

      누가 누구를 속이고, 누가 누구를 배신한 것일까? 세트와 호루스가 서로가 서로를 속이며 엎뒤락 뒤치락 다툰 이야기가 예수와 스승을 배신한 유다 이야기와 동일한 것일까? 상대를 속이는 것만 친다면 세트가 오히려 어수룩하고 호루스/이시스가 잔꾀가 훨씬 월등하다.

      또한 화가 난다고 어머니 이시스의 목 (혹은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왕관)을 잘라 신들에게조차 패륜아로 비난받은 호루스와 예수 사이에는 또 어떤 공통점이 존재하는가?

      마지막으로, (성인) 호루스와 세트의 대결에서 호루스는 죽거나 살아나지 않았다. 따라서 부활도 없을 뿐더러, "3일 만의 부활"은 더욱 있을 수 없다.




      § (남)십자성에 못박힌 태양/호루스의 3일 만의 부활?

      아래는 {시대정신} 영상물 속의 두번째 이미지.


      역시 이 부분의 나레이션 전문을 옮겨보겠다.

      There is another very interesting phenomenon that occurs around December 25th, or the winter solstice. From the summer solstice to the winter solstice, the days become shorter and cold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orthern hemisphere, the sun appears to move south and get smaller and more scarce. The shortening of the days and the expiration of the crops when approaching the winter solstice symbolized the process of death to the ancients. It was the death of the Sun. [S73]

      12월 25일 혹은 동지 무렵에는 또 한가지 재미있는 현상이 있습니다. 하지에서 동지로 가면서 낮시간은 점점 짧아지고 또 추워집니다. 북반구에서 본다면, 태양은 점점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점점 작아지고 희미해집니다. 동지로 갈수록 낮시간이 짧아지고 농작물이 죽는 것을 고대인들은 죽음의 과정으로 상징화 했습니다. 이것은 즉, 태양의 죽음입니다.

      By December 22nd, the Sun's demise was fully realized, for the Sun, having moved south continually for 6 months, makes it to it's lowest point in the sky. Here a curious thing occurs: the Sun stops moving south, at least perceivably, for 3 days.[S74] [M] During this 3 day pause, the Sun resides in the vicinity of the Southern Cross, or Crux, constellation.[S75] [S76] [M] And after this time on December 25th, the Sun moves 1 degree, this time north, foreshadowing longer days, warmth, and Spring.[S77] And thus it was said: the Sun died on the cross, [D] was dead for 3 days, only to be resurrected or born again.[S78] [S79]This is why Jesus and numerous other Sun Gods share the crucifixion, 3-day death, and resurrection concept. [S80] [M] It is the Sun's transition period before it shifts its direction back into the Northern Hemisphere, bringing Spring, and thus salvation.[S81] [S82] [M]

      12월 22일까지, 태양의 죽음이 확실히 인식되는데, 태양은 6개월 동안 남쪽 방향에서 가장 낮은 고도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흥미로운 일이 벌어집니다. 태양은 이 무렵 (적어도 눈으로 느끼기에는) 더이상 남쪽으로 움직이지 않고 3일 간 멈춥니다. 이 3일 간 태양은 남십자성 자리의 영역에 머물러 있게 됩니다. 그리고 12월 25일에 태양은 북쪽으로 1도 이동하며, 이제 날은 조금 더 길어지고 따뜻해지는 봄을 향해 갑니다.  그래서 "태양은 십자가 상에서 죽고, 부활 혹은 재생을 기다리면서  3일 간 죽어있다"라고 말해진 것입니다. 예수와 또 다른 태양신들이 십자가, 3일 간의 죽음/부활이라는 개념을 공유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태양이 북반구쪽으로 이동하기 직전 기간의 움직임은 봄의 도래, 즉 구원의 도래를 말하는 것입니다. --- 번역: 최광민

      태양이 십자가에서 죽는다?

      장황한 문화인류학적 해석을 곁으로 치워두고, 일단 태양과 남십자성의 위치를 한번 확인해 보자.

      {시대정신} 영상물에 삽입된 이미지에서는 일출 시의 태양과 남십자성이 아주 가깝게 붙어있어서, 마치 십자가에 달려죽은 예수를 암시하는 듯 보인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태양과 남십자성의 위치는 아래와 같다. 주목해서 보아야 할 것은, 남십자성이 뜨고 지는 위치, 그리고 태양이 뜨고 지는 위치다.

      고대 천문학/점성학에서 두 천체의 의미가 합쳐지려면 두 천체는 (1) 같은/근접 시간에 (2) 같은/근접 지점에서 떠올라야 (heliacal rising) 한다. 이집트 천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이런 류의 현상은 나일강의 범람을 알릴 무렵, 시리우스가 태양과 함께 (정확히는 일출 바로 직전 최근접거리에서) 먼저 떠오르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카이로 인근에서는 7월 말/8월 초에 한번 일어나며, 따라서 이집트인은 시리우스의 일출 시에 지평선에서 보이는 이 시점을 일년의 시작점으로 삼았다.


      시리우스의 일출 시 출현, 카이로 인근, 7월 26일 경

      아래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각각 AD 33년의 동지 무렵 새벽 1:30분, 4시 30분, 7:30분 경 이집트에서 본 천체 배치다. 남십자성은 새벽 1시 경에 남동쪽 지평선에서 떠올라 일출 후인 오전 8시 경에 남서쪽으로 진다. 아래 천문도에서 보듯, 동쪽에서 태양이 떠오를 시간에 남서쪽으로 남십자성이 진다.


      동지 새벽 1시 남동 지평선에서 떠오르는 남십자성


      새벽 4시 30분 경, 남십자성의 최고 고도


      아침 7시 30분 경, 동쪽에서 떠오르는 태양과 남서쪽으로 지고있는 남십자성

      그렇다면, 이 무렵 태양과 남십자성은 떠오르는 시간 뿐 아니라, 떠오르는 위치조차도 같지않다. 따라서 동지 무렵 태양은 "남십자성 별자리"보다 훨씬 동쪽에 치우쳐 있다.  설명 3일 후 25일이 지나 1도 이동하더라도 그 차이는 아주 미미하다. 시물레이션 프로그램이 아니라 실제로 지평선 상에서 동-남동-남쪽의 거리가 얼마나 될지 상상해 보자.

      25일 같은 시간의 태양과 남십자성의 배치 상태다.


      동지로부터 3일 후, 일출 시 태양과 남십자성의 위치

      그럼 다시 아래 {시대정신}에 삽입된 장면을 위의 천문도와 비교해 보자.


      그래서 과연 태양이 십자가에서 죽는가?



      하지만 두 천체(들)이 같은 시간에 겹치는 것도 아니고, 혹은 6시간 후 같은/근접한 지점에서 떠오르는 것도 아니다. 두 천체는 지평선과 고도 상에서 상당한 거리를 두고 이동한다. 예수가 십자가에서, 혹은 태양이 "남십자성에서 죽는"게 아니라, 동지의 태양과 남십자성은 아예 따로 노는 것처럼 보인다.

      아울러 태양의 "3일 간의 죽음"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자.  다시 {시대정신}의 주장을 옮긴다.

      By December 22nd, the Sun's demise was fully realized, for the Sun, having moved south continually for 6 months, makes it to it's lowest point in the sky. Here a curious thing occurs: the Sun stops moving south, at least perceivably, for 3 days.[S74] [M] During this 3 day pause, the Sun resides in the vicinity of the Southern Cross, or Crux, constellation.

      12월 22일까지, 태양의 죽음이 확실히 인식되는데, 태양은 6개월 동안 남쪽 방향에서 가장 낮은 고도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흥미로운 일이 벌어집니다. 태양은 이 무렵 (적어도 눈으로 느끼기에는) 더이상 남쪽으로 움직이지 않고 3일 간 멈춥니다. 이 3일 간 태양은 남십자성 자리의 영역에 머물러 있게 됩니다. --- 번역: 최광민

      {시대정신}류의 주장에서는 그 동지일"로부터" "3일 간" 태양이 남십자성좌에 머물러 있으며 따라서 이를 "부활이 있기 전까지 태양의 죽어있는 기간"으로 간주한다. 즉, 율리우스력으론 12월 25-26-27일이, 그레고리우스력으론 1월 22-24-25일이 이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대로, 동지 (예수의 처형 무렵엔 율리우스력 12월 25일)는 태양의 최저 남중고도일이다. 영어에서 '하/동지'를 뜻하는 solstice는 라틴어 solstitium 즉 'Sol (태양)' + 'stitium' (정지)'에서 온 말이다. 춘분/추분과는 달리 하지/동지 전후의 태양이 최저점을 항해 내려가고 올라갈때 그 속도가 매일 태양의 시직경/각지름의 1/60 정도인 30 아크초 (arcseconds)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고대에는 정확한 동지일을 측정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맨 눈으로 보면 동지 무렵 태양은 동지 전후로 멈춰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리의 문제는 맨 눈으로  "태양의 움직임이 멈춘" 것으로  보이는 날들은 "동지부터 3일 간" 뿐인 것이 아니라 실제 동지일 "전후" 최대 총 5일이라는데 있다. 즉, 율리우스력 12월 23-24-25(동지)-26-27일, 그레고리우스력으로 12월 20-21-22(동지)-23-24일이 된다.  따라서 태양의 멈춰있는 것으로 보이는, 즉 "죽어있는' 기간은 3일이 아니라 약 5일 간이다.  {시대정신}의 이 논리대로라면, 예수는 십자가에서 죽기 전 "이미 3일 간 죽어"있었고, 또 십자가에서 "죽은 후부터 3일 간 또 죽어있었다"라고 해석되야야 하는 셈이다.

      아울러 예수의 처형은 "동지" 무렵이 아니라 유대교의 축제인 유월절과 겹친 "춘분" 무렵이다. 도대체 춘분과 저 위의 "태양 정지 3일"이란 모티프가 어떻게 겹쳐진단 말인가?

      게다가 예수는 처형당한 금요일 오후 부터 "3일 후"인 "월요일 오후"에 부활한게 아니라, 총 이틀에도 못미치는 "금요일로 부터 3일 째"인 "일요일 새벽"에 부활한 것이기도 하다. 태양의 운행에 맞춰 예수의 죽음/부활이 창작된 것이라면, 왜 예수는 굳이 "총 3일이 아닌 "제 3일째 새벽"에 부활한 것으로 기독교도들이 설정했단 말인가? 위의 {시대정신} 식으로 풀이하려면, 예수는 일요일 새벽이 아니라, 월요일 오후에 부활했다고 말해야 하는게 아닌가?

      만약 초기 기독교도들이 "예수신화"를 "동지"에 맞춰 창작해 낸 것이라면, 아예 예수가 (1) 동지에 처형되어/부활했고, (2) 처형당한 금요일 오후부터 정확히 3일 후인 월요일 오후에 부활했다는 신화를 만들었으면 완벽했을 것이다.

      하지만 왜 그러지 않았는가? 답은 의외로 쉽다. (1) 예수는 정말로 춘분 즈음의 유월절 축제 직전에 처형되었고 (2) 정말로 처형으로부터 "하루 반" 혹은 금요일로부터 "제 3일 째"인 "일요일 새벽"에 부활했다고 초기 기독교도들이 정말로 믿었기 때문이다.

      각설하고,

      고대 이집트의 종교문서 가운데 호루스를 "남십자성"에 표상한 적이 있던가? 유감스럽게도, 그런 자료는 없으며 더 나아가 그럴 수도 없다. "남십자"란 별자리는 고대문헌에 등장하지 않으며, "근세에 와서야" 만들어진 새 별자리이기 때문에다. BC 1000년 경에는 지중해 북쪽 연안의 그리스 일대에서도 지평선에서 관측되던 남십자성 주변은 세차운동 결과 예수 무렵에는 유대아 근방 정도까지에서만 관측되었고, 그 이후에는 관측가능 지점이 더 내려가서 남반구에서만 관측되게 되었다. 초기 기독교 시절인 AD 2세기의 가장 위대한 천문학자인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프톨레마이오스는 현재 남십자성으로 간주되는 별들을 켄타우르스 별자리의 일부로 간주했다.

      간단한 자료확인과 실험은, 장황하고 번잡하고 사변적인 담론을 종종 무색하게 만들곤 한다. 이것이 바로, 언제나 풍부한 상상력을 가지되 손에는 자와 연필을 늘 쥐고있어야 하는 이유이다.




      § 정리

      그럼 아차리아 S와 영상물 {시대정신, Zeitgeist}가 주장하고 있는, "예수의 죽음"과 너무나 동일한 "호루스의 죽음"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자.

      주장 #: 호루스는 예수처럼 죽어서 무덤에 안장되었다가 부활했다!!

      Q:  BC 12세기의 이집트 제 20왕조의 기록, BC 4세기 이집트 제 30왕조의 석주를 비롯한 고대 이집트의 고고학 자료 가운데, 아차리아 S와 {시대정신}이 주장하는 것처럼, "예수가 유사한 과정에 따라 죽음을 맞이하고 부활한" 호루스에 대한 내용을 담은 자료가 있는가?

      A: .없다.

      Q: 기독교가 시작된 AD 30년 초반으로부터 한두 세대 안에 이집트에서 유행하던 형태의 호루스 신화를 기록해 남긴 AD 1세기의 그리스 아폴론 신관이자 작가 플루타르코스의 {모랄리아: 이시스와 오시리스}편 속에 "예수와 유사한 과정에 따라 죽음을 맞이하고 부활한" 호루스에 대한 내용이 등장하는가?

      A: 아니다.

      Q: 동지는 태양신 호루스의 "죽음과 부활"을 상징한 것이며, 여기에서 예수의 "죽음과 부활"이란 모티프가 유래했는가?

      A: 그럼 도대체 왜 예수는 동지가 아닌 "춘분" 무렵의 봄철에 십자가에서 죽고 또 부활했는가?

      자, 그렇다면, 아차리아 S의 감수를 받은 영상물 {시대정신, Zeitgeist: the Movie}에 등장하는 아래와 같은 자신감 넘치는 선언은 도대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것일까?

      We don't want to be unkind,
      but we want to be factual.
      We don't want to cause hurt feelings,
      but we want to be academically correct, in what we understand and know to be true.

      불쾌감을 주려하는게 아닙니다.
      사실에 근거하려는 겁니다.
      감정을 상하게 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사실이라고 알고 이해하는 것들에 대해서
      학문적으로 정확하길 원합니다.
       
      이 주장들은 우선 (1) "학문적으로 정확"하지 "않"고, 나아가 (2) 제작자가 "사실이라고 알고 이해하는 것"은 사실도 아니다.

      오히려 아차리아 S와 영상물 {시대정신}과 그들의 "비조" 제럴드 메이시는,  "호루스-예수"신화를 비판한다는 그들 스스로 새롭고 엉뚱한 "신화"를 하나 만들어냈을 뿐이다. 

      판단은 각자의 몫.

      草人



      반응형